올림, 내림, 반올림, ~~ 연산의 정리
by 담담이담1. 올림
Math.ceil() :
음수, 양수 상관없이 항상 "양수"쪽으로 올림한다.
Math.ceil(4.2) // 결과값 : 5 Math.ceil(9.9) // 결과값 : 10 Math.ceil(-4.2) // 결과값 : -4 Math.ceil(-9.9) // 결과값 : -9
2. 내림
1) Math.trunc()
: 소수점만 버린다.
Math.trunc(4.9) // 결과값 : 4 Math.trunc(9.2) // 결과값 : 9 Math.trunc(-4.9) // 결과값 : -4 Math.trunc(-9.2) // 결과값 : -9
2) Math.floor()
: 음수쪽으로 내림한다.
Math.floor(4.7) // 결과값 : 4 Math.floor(9.2) // 결과값 : 9 Math.floor(-4.2) // 결과값 : -5 Math.floor(-4.7) // 결과값 : -5 Math.floor(-9.2) // 결과값 : -10
3. 반올림
Math.round()
소수점 이하가 0.5보다 크면 올림하고, 0.5보다 작으면 내림한다.
Math.round(4.5) // 결과값 : 5 Math.round(9.2) // 결과값 : 9 Math.round(-4.5) // 결과값 : -4 Math.round(-4.9) // 결과값 : -5 Math.round(-9.2) // 결과값 : -9
Math.trunc()는 소수점 이하는 다 버리기 때문에
숫자가 -23.3 음수인 경우에도 그저 -23을 Return한다.
Math.floor()는 -23.3인 경우에 내림을 하기 때문에 -24를 Return하게 된다.
그러므로, 그저 소수점을 버릴 것이냐,
아니면 수학적인 계산이 필요하여 음수인 경우에도 적용할 것이냐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.
4. ~~연산
Math.floor()와 같은 역할을 한다.

블로그의 정보
유명한 담벼락
담담이담